다양한 동물들의 무늬
검은 줄무늬를 가진 얼룩말부터 눈 주위에 까만 무늬가 있는 판다, 점박이 무늬가 있는 표범까지 서로 각양각색의 무늬를 가진 동물들이 있다. 동물에게 무늬가 왜 생긴 건지, 무늬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 얼룩말의 무늬
- 판다의 무늬
- 기린의 무늬
- 표범의 무늬
얼룩말의 무늬
얼룩말은 초식동물인데도 불구하고 흰색과 검은색이 대비되어 눈에 띄는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초식동물이라면 응당 천적의 눈을 피하기 위해 눈에 띄지 않는 색이나 무늬로 진화하기 마련인데 말이다.
얼룩말은 검은 피부를 가졌으며 흰 털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검은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들이 색소침착을 일으켜 검정색 줄무늬가 생기게 된다. 이 얼룩말의 줄무늬는 지문처럼 각 개체마다 다른 무늬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얼룩말의 줄무늬가 왜 생겨난 건지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이유는 없지만, 몇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1. 열순환을 위해
얼룩말이 아프리카 초원의 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검은색과 하얀색의 줄무늬를 만들어 냈다고 하는 가설이 있다.
검은색은 빛을 흡수하는 시간이 빠르며 하얀색은 빛을 흡수하는 시간이 느려지기에 이런 시간의 차이가 공기의 순환을 일으켜 얼룩말의 체온을 낮추는 효과를 보여준다고 한다.
2. 체체파리로부터 보호
체체파리는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파리의 종류 중 하나로, 흡혈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체체파리는 안정된 단색의 표면에 내려 앉아 흡혈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얼룩말의 줄무늬는 시력이 좋지 않은 체체파리에게 착시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좋은 위장색이 되어 체체파리의 흡혈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판다의 무늬
판다는 눈 주위와 귀, 팔과 다리가 검다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판다의 하얀 얼굴에서 눈 주위의 검은 무늬가 인상적이다.
판다의 이런 독특한 무늬는 다 이유가 있다고 한다.
판다의 무늬가 생긴 이유
겨울이 다가오면 곰들은 체내에 음식을 젖아하고 겨울잠에 들지만, 판다가 주로 먹는 대나무는 체내에 저장되지 않고 금방 소화되기 때문에 한겨울에도 먹이를 찾아 돌아다녀야 한다. 그런 이유로 한겨울에도 먹이를 찾는 판다를 천적의 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겨울의 눈과 비슷한 흰색 털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오게 되면 그늘 속에 몸을 숨겨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검은색 털도 발달하게 되었다.
특히 눈 주위의 검은 털은 각 개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람의 지문 역할을 하게 되며, 눈은 검은색 귀와 더불어 판다의 공격성을 알리고 포식자에게 경고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린의 무늬
기린은 약 2m정도로 긴 목과 그물 무늬가 특징인 동물이다. 기린의 독특한 그물 무늬가 생긴 이유는 핏줄 때문으로, 무늬 모양대로 복잡한 핏줄이 발달되어 있으며 이 형태는 기린의 체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온이 높은 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하는 기린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해주게 되어 무늬가 복잡하면 복잡할수록 오래 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한다.
기린의 무늬는 기린의 종류마다 다 달라 무늬로 종류를 구분하는 게 가능하다고 한다.
표범의 무늬
표범이나 재규어 같은 맹수들의 무늬는 점박이 무늬로 비슷하게 생겼다. 이런 점박이 무늬는 사냥을 하기 위해 초식동물에게 접근할 때, 초식동물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특히 식물이 말라버리는 건기에는 말라버린 식물의 낙엽 색깔과 맹수의 황갈색의 털 색깔이 비슷하며, 검은 무늬는 나무의 그림자와 비슷해 초식동물들이 알아채기 쉽지 않은 무늬다.
'동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학이 붉은 색인 이유와 특징, 홍학이 한 발로 서 있는 이유는?(a.k.a. 플라밍고) (0) | 2024.01.20 |
---|---|
나무늘보의 특징, 나무늘보의 속도, 나무늘보가 빠르게 움직일 때 (0) | 2024.01.19 |
강아지의 다리를 아프게 하는 보호자의 습관 (0) | 2024.01.18 |
강아지와 고양이가 풀을 먹는 이유는? (6) | 2024.01.16 |
반려동물 등록제도, 등록 방법, 비용 (0) | 202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