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 상식

홍학이 붉은 색인 이유와 특징, 홍학이 한 발로 서 있는 이유는?(a.k.a. 플라밍고) 홍학의 특징과 생태 홍학의 특징 홍학, 또는 플라밍고라고 불리는 이 동물은 물음표 모양의 긴 목과 가느다랗고 긴 다리, 붉은 깃털이 특징이다. 홍학의 물음표 모양의 긴 목의 목뼈는 19개로, 사람의 목뼈가 7개인 것에 비해 많은 뼈를 가지고 있다. 이 덕분에 홍학의 목은 360도로 회전이 가능할 정도로 유연하다. 키는 대부분 90~150cm, 꼬리는 약 15cm, 부리는 중간쯤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졌으며, 가느다란 다리를 이용해 물 속을 걸어다니고 발에는 물갈퀴가 있다. 외모만 보면 두루미나 황새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두루미와 황새와는 유전적인 관련이 없으며, 홍학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새는 논병아리다. 또한, 홍학의 부리에는 여과기 역할을 하는 빗살모양의 조직이 있어 물속의 먹이를 잡아 먹을 때, .. 더보기
나무늘보의 특징, 나무늘보의 속도, 나무늘보가 빠르게 움직일 때 나무늘보에 대하여 나무늘보의 정보 '나무늘보'는 나무와 느림보를 뜻하는 늘보가 합쳐진 합성어로, 영어로는 나태를 뜻하는 'Sloth', 일본에서는 게으름뱅이를 뜻하는 '나마케모노'로 불리며 많은 나라에서 나태함이나 게으름뱅이를 뜻하는 이름으로 불린다. 매달릴 나무가 많이 우거진 열대우림에서 서식하며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있다. 나무늘보는 분류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척은 1만 년 전 멸종한 땅늘보이며, 현존하는 동물 중 가장 가까운 친척은 개미핥기다. 나무늘보는 잡식성으로 주로 식물의 잎이나 가지를 먹으며, 곤충이나 도마뱀,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는다. 나무늘보의 특징 영화 를 보면, 나무늘보 캐릭터인 '슬래시'가 나온다. 영화를 본 사람들이나, 나무늘보를 아는 사람들은 나무늘보가 느리게 움.. 더보기
강아지의 다리를 아프게 하는 보호자의 습관 강아지의 다리를 아프게 하는 보호자의 습관 반려견이 귀여워서 고치지 않고 그냥 두는 행동이나 보호자가 미처 생각치 못한 습관 때문에 강아지의 다리 관절을 망칠 수 있다. 어떤 행동들이 강아지의 다리를 아프게 하는지, 강아지의 다리 건강을 위해 고쳐야 하는 습관에 대해 알아보자. 두 발 서기 외출했다 집에 돌아오면 강아지들이 반갑다며 두 발로 서서 인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모습은 너무 귀여워서 보호자들이 좋아하는 모습 중 하나지만, 사실 이 행동은 강아지의 무릎에 무리가 가는 행동이다. 인사하는 모습 이외에도 간식을 먹을 때나 기분이 너무 좋을 때 두 발로 서는 습관이 있는 아이라면, 앉아서 차분히 냄새를 맡게 해주거나 진정할 때까지 잠시 무시해 주는 게 좋다. 과한 산책 강아지에게는 매일 산책하.. 더보기
강아지와 고양이가 풀을 먹는 이유는? 반려견을 키운다면 산책시키다가 강아지가 길가에 있는 풀을 뜯어먹었던 경험이 있을 수 있으며, 반려묘를 키운다면 집에 있는 화분을 뜯어먹는 고양이를 말린 적이 있을 것이다. 강아지나 고양이는 왜 풀을 먹는 걸까? 강아지가 풀을 먹는 이유 강아지가 풀을 뜯어먹는 이유는 뭘까? 강아지들은 때때로 소화에 도움이 되기 위해 풀을 먹을 수 있다. 풀은 소화를 돕는 섬유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장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시켜주며 변비를 완화시켜준다. 만약 강아지가 풀을 너무 자주 먹는다면, 평소 섬유질을 풍부하게 섭취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으니 식단에 섬유질을 추가해줘야 한다. 또한, 풀은 섬유질과 비타민, 미네랄, 염소를 포함하고 있어 강아지가 이런 영양분이 필요해졌을 때 풀을 섭취할 수 있다. 강아지가 풀을 먹.. 더보기
동물 무늬 속의 비밀 다양한 동물들의 무늬 검은 줄무늬를 가진 얼룩말부터 눈 주위에 까만 무늬가 있는 판다, 점박이 무늬가 있는 표범까지 서로 각양각색의 무늬를 가진 동물들이 있다. 동물에게 무늬가 왜 생긴 건지, 무늬의 비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얼룩말의 무늬 판다의 무늬 기린의 무늬 표범의 무늬 얼룩말의 무늬 얼룩말은 초식동물인데도 불구하고 흰색과 검은색이 대비되어 눈에 띄는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초식동물이라면 응당 천적의 눈을 피하기 위해 눈에 띄지 않는 색이나 무늬로 진화하기 마련인데 말이다. 얼룩말은 검은 피부를 가졌으며 흰 털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검은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들이 색소침착을 일으켜 검정색 줄무늬가 생기게 된다. 이 얼룩말의 줄무늬는 지문처럼 각 개체마다 다른 무늬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더보기
반려동물 등록제도, 등록 방법, 비용 반려동물 등록제도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1월 1일부터 "반려동물 등록"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2022년을 기준으로 반려동물 등록제를 통해 등록된 반려동물은 반려가족의 53.4%로, 8년 이상 시행된 것에 비해 등록률이 저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려동물을 등록하게 되면 동물의 유실, 유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까운 시,군,구청에 동물을 등록해야 한다.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등록대상동물 등록대상동물은 태어난지 2개월 이상이며, 주택이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강아지를 말한다. 등록대상동물의 나이를 2개월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2개월 이하인 경우에도 등록이 가능하다. 반려동물 등록 방법 반려동물 등록 방법은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를 반.. 더보기